‘위클리공생공사’

12월 셋째 주(12월 10일~12월 16일) 공생공사닷컴에서는 △노조전임자 근로시간면제제도(타임오프제) 시행을 앞두고 정부와 경제사회노동위원회(경사노위)에 성의 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공무원 노동계의 기자회견과 △전국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의 제12대 집행부 선거 결과 등을 비중 있게 다뤘다. 이외에 내년도 공무원 봉급 인상 문제 등을 언급한 이전 주 위클리공생공사도 많은 페이지뷰를 기록했다. 공무원이나 일반기업 직원할 것 없이 봉급은 역시 제1의 관심사다.

공노총과 공무원노조는 지난 13일 경사노위 앞에서 공무원 특수성 등을 반영한 타임오프제 시행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공노총과 공무원노조는 지난 13일 경사노위 앞에서 공무원 특수성 등을 반영한 타임오프제 시행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연합뉴스

법이 통과됐으니 하긴 하지만… 타임오프제에 소극적인 경사노위(링크)

근로시간면제제도를 담은 교원과 공무원 노조법 개정안은 지난 정부 때 통과됐다.

당시 시행 시기를 1년 6개월 뒤로 잡았다. 그게 이달이다.

그러면서 경사노위에 심의위원회를 구성해서 근로시간면제한도 등을 정하도록 했지만, 후속조치가 이뤄지지 않은 채 오늘에 이르렀다.

법에 시행시기를 못 박았으니 지난달 노동부는 시행령을 개정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노조에 보수적인 정권이 들어서면서 경사노위도 타임오프제에 큰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 빌미를 준 게 노동계의 갈등이다. 심의위원회 구성을 둘러싸고 한국노총 공무원연맹과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 사이의 샅바싸움도 한 몫 했다.

거슬러 올라가면 그 뿌리는 깊다.

공노총에서 광역연맹이 한국노총으로 옮겨간 이후 조직 빼내기 문제로 양측의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이후 양측은 사사건건 부딪혔다. 경사노위에서 이니셔티브를 쥔 공무원연맹은 공노총의 자격을 문제 삼았고, 공무원보수위원회에서는 거꾸로 공노총이 공무원연맹 참여에 제동을 걸었다.

이것이 주된 원인은 아니었을지 몰라도 타임오프제에 소극적인 경사노위에 빌미가 제공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렇게 시간이 흘러 시행시기가 되면서 공무원 노동계가 마음이 바빠졌다.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고 구체적인 시행 방안에 따라서는 타임오프제가 ‘약’이 아닌 ‘독’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경사노위 앞에서 이철수 국가공무원노조 위원장 등 공무원 노동계가 모여서 공무원 특성 등을 반영한 타임오프제 시행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공노총 제공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경사노위 앞에서 이철수 국가공무원노조 위원장 등 공무원 노동계가 모여서 공무원 특성 등을 반영한 타임오프제 시행 등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하고 있다. 공노총 제공

이와 관련, 공노총과 공무원노조는 지난 13일 서울 종로구 경사노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타임오프제 시행에 앞서 공무원의 특수성과 공무원노동조합의 대표성을 반영한 ‘공무원 근무시간면제심의위원회’ 운영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법 통과 후 1년 6개월을 허송했다고 정부와 경사노위를 맹공했다.

크게 틀린 얘기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공노총, 공무원노조, 공무원연맹 모두 지금의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싸울 때 싸우더라도 군소 공무원노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타임오프제에서 만큼은 공무원 노동계가 대승적인 협조를 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집행부 세팅 다시 한 공무원노조… 산적한 과제 어떻게 풀까(링크)

공무원노조 제12기 임원선거 결과가 나왔다. 예상대로 기호 1번 이해준 위원장·김태성 사무처장 후보가 당선됐다.

지난 13·14일 이틀간 진행한 현장 및 모바일 투표 결과 이해준·김태성조는 유효투표자의 57.86%인 4만 8284표를 얻어 결선투표 없이 당선이 확정됐다.

집행부가 바뀌었지만, 현 전호일 집행부와 노선은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사무총장도 현 김태성 사무총장이 연임한데다가 공약 등도 투쟁을 통한 목표 달성 등에 방점을 찍는 등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임금삭감 없는 주4일근무제 시행, 공공부문임금위원회로 위상 강화 △공무원노조특별법 폐지 등을 내걸었다.

모두가 쉽지 않은 과제들이다.

여기에 공무원 처우문제나 회계 및 세금문제, 공무원연금 문제 등 현안도 산적해 있다. 보수 정권이라는 새로운 환경 속에서 새 집행부의 운신의 폭도 좁을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노조에 대한 보수적 인식을 가진 정부와 새 집행부 사이에 긴장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은 없지 않다.

향후 이해준 체제가 어떻게 이들 문제를 풀어나갈지 주목된다.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