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고위 11인 평균 47억 7000만원으로 전체 평균 2.5배 넘어
최지영 기재부 관리관 494억 전체 1위, 오세훈 시장 59억 광역장 '톱'
평균 19억원 … 김동조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 1년 새 213억원↑
전자 관보 누리집(gwanbo.go.kr),공직윤리 시스템(peti.go.kr) 이용
전체 공개 대상자 5604명 재산내역 성명·기관명 통해 파악할 수 있어

인사혁신처 직원이 공직자 재산등록 내역을 살펴보고 있다. 재산공개 대상자는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재산 내역을 1월 1일부터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관보 및 인사혁신처장 지정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를 공개해야 한다.                       인사혁신처 제공 
인사혁신처 직원이 공직자 재산등록 내역을 살펴보고 있다. 재산공개 대상자는 전년도 12월 31일 기준 재산 내역을 1월 1일부터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하고,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관보 및 인사혁신처장 지정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를 공개해야 한다.                       인사혁신처 제공 

윤석열 대통령 74억 8112만 1000원, 이관섭 정책실장 78억 5037만 5000원, 한오섭 정무수석 19억 1486만 4000원, 이도운 홍보수석 44억 3272만 8000원, 박춘섭 경제수석 13억 6782만 8000원, 장상윤 사회수석 12억 8404만 4000원, 조태영 국가안보실장 38억 9957만 8000원, 김태효 국가안보실 제1차장 141억 3682만 9000원, 인성환 국가안보실 제2차장 7억 6088만 3000원, 왕윤종 국가안보실 제3차장 79억 511만 9000원, 김용현 경호처장 14억 4532만원···.      

행정부 고위공직자, 국립대 총장, 공직 유관단체장,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 교육감을 통틀어 1975명의 정기 재산변동사항 신고내역이 28일 공개됐다. 모두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에 해당한다.

올해 윤석열 정부 고위공직자 1975명의 신고재산 평균은 1년 새  4700여만원 감소해 19억 101만원으로 집계됐다. 1억원 이상 증가한 사람은 358명으로, 공개 대상자 10명 중 2명 꼴이다. 재산총액 기준 공개대상자의 41.2%인 813명이 10억원 미만의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고 신고했다.

대통령실 주요 직위 11명의 평균 재산은 47억 7000만원으로 전체 평균을 2.5배 정도 웃돌았다.

국무위원 중 한덕수 국무총리는 83억 1114만 3000원을 신고했다. 또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42억 2952만 9000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42억 7605만 1000원,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107억 7635만 2000원, 박진 외교부 장관 28억 5132만원, 김영호 통일부 장관 26억 3056만 1000원, 신원식 국방부 장관 16억 7791만 4000원,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39억 4115만 5000원,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23억 4345만 8000원, 한화진 환경부 장관 30억 9876만원,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 12억 9890만 9000원,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 11억 4956만 3000원, 오영주 중소기업벤처부 장관 9억 5079만 6000원이었다.

광역자치단체장 중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이 59억 7599만 4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박형준 부산시장은 56억 599만 3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김동연 경기도 지사는 33억 3674만 2000원을 신고했다. 김영환 충북지사는 지난해 신고액에 비해 67억 3000만원 감소해 마이너스 8061만 5000원을 올렸다.

또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이 162억 3370만원을 등록한 반면 김대중 전남도 교육감은 2022년 재산보다 1억 7496만원 늘었지만 여전히 마이너스 4억 4102만 7000원의 재산을 등록해 전국 교육감 중 최하위를 기록했다.

공직자윤리위원회 관할 1975명 중 최지영 기획재정부 국제경제관리관이 494억 5177만 1000원으로 단연 최다를 기록했다.

이어 조성명 서울 강남구청장 489억 887만 9000원, 변필건 수원고등검찰청 검사장 438억 8234만원, 김동조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 329억 2750만 7000원 순으로 많은 재산을 보였다.     

김성수 경기도의회 의원(259억 6865만 4000원), 최경식 전북 남원시장(203억 706만 7000원), 문헌일 서울 구로구청장(196억 3446만 1000원), 박영서 경북도의회 의원(189억 9346만 8000원), 보건복지부 소속인 차상훈 오송첨단의료산업단지 이사장(181억 4730만 8000원), 양용만 제주도의회 의원(179만 1619만 1000원)이 차례로 5~10위를 달렸다.

전체 재산공개 내역을 소유자별로 보면 신고재산 평균(19억 101만원) 중 본인 9억 9207만원(52.2%)이고, 배우자 7억 4445만원(39.1%), 직계 존·비속 1억 6448만원(8.7%)을 보유하고 있었다.

재산공개 대상자 중 50.5%인 997명은 종전 신고 때보다 재산이 감소했고, 49.5%인 978명은 증가했다. 감소 주원인은 주택 공시가격 및 토지 개별공시지가 하락 등에 따른 가액변동, 증가 요인으로는 주가지수 상승, 급여 저축이 대표적으로 꼽혔다.

1년 새 재산 증가규모에서 김동조 대통령실 국정기획비서관은 213억 513만 5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재산공개 대상자의 신고재산 평균은 2022년 재산의 평균인 19억 4837억원에 비해 4735만원이 감소했다.

윤 대통령도 전년보다 2억원 줄어들었다. 김건희 여사 명의의 경기도 양평군 강상면 소재 토지와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사저 가격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재산공개 내역은 이날 0시 이후 대한민국 전자관보 누리집(gwanbo.go.kr)뿐만 아니라 공직윤리시스템(peti.go.kr)에서도 확인할 수 있고, 검색까지 가능해 성명·기관명을 통해 재산공개 대상자 내역을 보다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별도로 공개됐던 국회, 대법원, 헌법재판소,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소속 재산공개 대상자와 지방자치단체 기초의회의원 등의 재산공개 내역도 공직윤리시스템을 통해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재산등록 의무자는 법률에 따라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재산변동사항을 이듬해 2월 말일까지 신고해야 한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관할하는 재산공개 대상자의 신고 내역을 신고기간 만료 후 1개월 이내에 공개해야 한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개 후 3개월 이내인 오는 6월 말까지 이번에 공개한 모든 공직자의 재산변동 사항에 대해 심사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필요 시 3개월 연장할 수 있다. 

등록재산을 거짓으로 기재했거나 중대한 과실로 재산을 누락 또는 잘못 기재,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이용해 재산상 이익을 취득한 경우 경고 및 시정조치, 과태료 부과, 해임·징계의결 요구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더불어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공직윤리를 바라보는 국민 눈높이에 부응하도록 소득 대비 재산이 과다하게 증가·감소한 경우 등에 대해선 재산 취득 경위와 자금 출처 및 사용처 등 재산 형성과정에 대한 심사를 강화한다.

특히 직무상 비밀을 이용한 부동산 취득 여부, 법인을 통한 부동산 명의신탁 여부 등을 심층 심사해 부정한 재산증식 혐의가 있거나 다른 법 위반사실 등이 발견될 경우, 관계기관 조사의뢰 및 통보 등의 조치도 취할 계획이다.

지난해의 경우 1309명에 대해 법적 조치가 이뤄졌다. 징계의결 요구 13명, 과태료 부과 260명, 경고 및 시정조치 1036명이었다. 

법률상 재산공개 대상자는 이번 1975명 외에 고등법원 부장판사급 이상의 법관, 대검찰청 검사급 이상의 검사, 중장 이상의 장성급 장교, 치안감 이상 경찰 및 지방경찰청장, 지방국세청장 등을 포함해 모두 5604명에 이른다. 국회 323명, 대법원 141명, 헌법재판소 13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2명 등이다.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