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 거주 6417명 대상 탈북 트라우마 극복 지원
일자리 연계형 취업 지원→실질적 자립기반 제공
병원비 지원 및 자녀 대상 국영수 방문학습 확대

북한이탈주민과 이웃 시민으로 이뤄진 연합봉사단이 시내 한 노인요양원에서 어르신 식사를 도와드리는 모습. 서울시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존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동행 추진계획'을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 제공
북한이탈주민과 이웃 시민으로 이뤄진 연합봉사단이 시내 한 노인요양원에서 어르신 식사를 도와드리는 모습. 서울시는 북한이탈주민들에게 안정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존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동행 추진계획'을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서울시 제공

서울시는 북한이탈주민의 완전한 정착을 돕기 위해 제대로 된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포용적 사회환경을 조성하는 '서울 동행 추진계획'을 25일 발표했다.

위기 징후를 보이는 북한이탈주민을 적극적으로 찾아 안정적인 생계유지와 건강 관리, 자립 기반 조성을 위한 교육·일자리 제공 등 빈틈없는 지원책을 가동하는 게 목표다.

우선 사회와 쉽사리 교류하지 못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정확한 실태조사를 위해 위기 징수 가구를 선제적으로 찾아 복지 사각지대 발생을 막는다.

자치구와 지역적응센터 4곳에서 시와 정부가 제시한 단전·단수·우울증 등 생계·건강·사회고립 분야 위기 지표를 기반으로 정기적인 서면·현장 조사를 시행해 위기가구를 신속히 발굴함으로써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이어준다.

공공요금 체납이나 단전·단수 상황은 긴급복지와 요금감면 등으로 지원하고 응급의료센터 내원이 잦은 경우 '찾아가는 돌봄'이나 의료·검진 지원을 연계한다.

자살 위험이나 알코올 중독 등 복합적인 위기를 겪는 가구에는 지역활동가로 하여금 수시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게 하고 월 1회 이상 정기 방문과 상담, 병원 동행 등으로 고독사와 사회적 고립을 예방한다.

위기가구 발굴 중 정서적·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게 확인된 사례를 위해서는 '찾아가는 건강돌보미' 사업을 올해 신규로 추진한다. 정신건강 사회복지사·간호사가 자원봉사자와 함께 방문해 우울증 검사부터 증상 관리, 병원 동행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사고·질병 등 갑작스러운 위기 상황으로 경제적 어려움과 돌봄이 필요한 50명에게는 1인당 연 100만원의 긴급생계비를 지원해 즉각적인 위기 해소와 생활 안정을 돕는다.

취업 경험과 의지를 보이는 북한이탈주민에게는 요식업·미용·자동차 정비 등 지역 소상공인이 직접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하는 교육을 강화한다. 복잡한 도시 적응을 어려워하는 중·장년층의 귀농을 지원하는 실습형 영농교육도 서울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운영한다.

건강검진 기관은 기존 6곳에서 8곳으로 늘렸다.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해당 검진 기관에서 즉시 치료할 수 있다.

소득에 무관하게 동일 금액을 선착순 지급하던 치료비 지원 방식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계층에 더 많이 지급하도록 바꿨다. 치과 치료비는 기존 400만원에서 450만원으로 늘렸다.

가족 갈등, 사회적 관계망 부족 등으로 돌봄이 필요한 가정에 대한 맞춤형 방문 돌봄 서비스는 연간 4회에서 최대 10회로 확대한다. 전문가 2명이 가정을 방문해 부모와 자녀를 개별 상담해 효과를 높인다. 긴급돌봄이 필요한 가정에는 간병·아동 돌봄도 곁들인다.

북한과 다른 교육체계, 어려운 경제 여건 등으로 학업성취도가 낮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방문학습도 확대 추진한다. 수업 시간을 주 1회 50분에서 60분, 교육 기간은 6개월에서 10개월로 확대한다. 또 기존 한글, 국어, 영어 외에 개인별 격차가 큰 수학과 과학을 추가해 과목 선택권을 넓혔다.

서울에 신규 전입한 주민의 초기 정착을 돕기 위해 입주 전 청소·방역 작업을 가구별 25만원을 지원하고 가구당 일괄적으로 100만원씩 지급하던 가전·가구 등 기초생활 물품 지원비도 물가 수준과 인원 등을 고려해 120만(1인)∼180만원(4인)으로 확대했다.

마지막으로 이웃과 자연스럽게 소통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행사와 체험 기회를 만들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고 긍정적 인식을 퍼뜨린다. 여느 시민과 함께하는 연합봉사단을 꾸려 소속감과 자긍심도 높인다.

시 홈페이지, 서울시 챗봇 '서울톡' 등 다양한 수단을 활용해 맞춤형으로 정보를 제공해 지원 내용이나 신청 방법을 몰라 여전히 소외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이동률 서울시 행정국장은 "북한이탈주민이 이방인이 아닌 우리 시민으로 완벽하게 정착하도록 일자리, 생활, 건강, 교육, 정서 등에서 체계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