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처, 정부 근무혁신 민·관·학 전문가 토론회
“준비 없는 따라하기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도”
“직무성격 고려, 구성원과 공감대 확보” 의견도

정부세종2청사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 제공
정부세종2청사 인사혁신처. 인사혁신처 제공

인공지능의 도래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는 공무원의 일하는 방식을 모색하기 위한 ‘2023년 정부 근무혁신 토론회(포럼)’가 4일 열렸다.

인사혁신처 주최로 세종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이날 포럼의 주제는 ‘코로나 이후 공직사회 생산적 근무방식 모색’으로, 정부·민간기업 인사 담당자, 복무 담당 공무원 및 학계 전문가 등이 참가, 머리를 맞댔다.

토론회는 △코로나 일상 회복 △디지털·비대면 기술의 발전 △정책 수요의 다변화 등과 관련된 주제 발표에 이어 토론이 이어졌다.

참가자들 모두 변화에는 공감했지만, 변화는 생산성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구성원과의 공감대가 우선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한 공직 근무혁신 추진방안’이라는 주제 발표를 한 성균관대 박성민 교수는 근무방식의 개선이 생산성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공직사회 근무혁신이 효과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선 공직문화 개선과 함께 추진하여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며 “부처 업무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근무방식을 운영하기 위해 인사처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진단·평가 및 환류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콘페리 최현아 전무는 ‘새로운 근무문화를 찾아서’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맞춤형 근무방식을 강조했다.

최 전무는 “철저한 준비 없이 ‘따라하기 식’의 근무방식은 자칫 생산성 저하 등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근무방식을 새롭게 할 때는 직무의 성격을 고려하고, 구성원과 지도자(리더)의 공감대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세청 손성수 운영지원과장은 ‘전국단위 순환전보체계 개편’, ‘근무시간 외 긴급 통관 업무를 위한 재택근무 도입’ 등 여러 근무혁신 시책을 소개했다.

박 과장도 “근무혁신을 위해서는 부서장과 부서원 간 신뢰에 기반한 조직문화가 중요하다”며 “적극적인 되먹임(피드백)을 통해 서로 소통하는 것이 혁신의 밑거름이 됐다”고 밝혔다.

민간기업에서는 카카오가 ‘일의 미래(Future of Work), 일하는 방식의 변화’에 대해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카카오 이준 인사기획실장은 “카카오는 신뢰와 자율을 기반으로, 협업의 가치를 우선으로 근무방식을 변화시켜 왔다”며 “업무수행과 문제해결을 위해 사무실 근무를 우선하면서도 조직의 지도자(리더)가 구성원과 함께 성과 창출에 최적화된 근무방식을 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발제 이후에는 국민대 조경호 교수를 좌장으로 ‘코로나 이후 생산적 근무여건 조성을 위한 근무혁신 방안’에 대한 종합토론도 이어졌다.

이인호 인사처 차장은 이날 개회사에서 “근무혁신은 공직사회가 최선의 성과를 낼 수 있는 근무방식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면서, “이날 제안된 고견을 바탕으로 공직사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