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기준 ‘균형인사 연차보고서’ 발간
중앙 고위공무원 102명 첫 세자릿수
장애인고용 중앙 3.43%·지자체 3.95%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이공계 비율 22.1%

그래픽:인사혁신처
그래픽:인사혁신처

중앙부처 여성공무원이 최초로 세자릿수를 넘어서 102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7%로 목표치인 6.8%에 0.1% 포인트 못미쳤다.

국내 기업의 여성 임원 비율이 4%에 불과한 점에 비추어보면 국가가 양성평등에 있어서는 선도적인 입장이지만, 전체 공무원 수에서 여성공무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46.7%인 점을 감안하면 아직 양성평등의 길은 요원한 상태라는 지적이다.

정부는 양성평등·장애인·지역인재·저소득층·이공계 등 균형인사 통계를 담은 ‘2019 공공부문 균형인사 연차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2018년 통계에 기반해 작성됐다.

균형인사연차보고서는 지난해부터 발간했으며 올해는 분석 대상에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까지 포함한 것이 특징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1514명 가운데 여성은 102명으로 6.7%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98명)에 비해 4명 늘어난 것으로, 중앙부처 여성 고위공무원이 100명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앙부처 과장급 여성 비율은 17.5%로 전년 대비 2.7%포인트 늘었다. 지방 과장급 여성 비율 역시 전년 대비 1.7%포인트 증가한 15.6%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8년 현재 전체 공무원(108만 5849명) 가운데 여성이 50만 7027명인 점을 감안하면 정부부처나 지자체에서 여성 관리자 비율이 전체 비율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지자체가 더 심한 편이다. 중앙의 경우 전체 일반직 공무원(16만 7639명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36.3%이지만, 1, 2급 고위직 공무원 비율은 전체(1064명)의 5.5%(59명)인 반면, 지방은 전체 일반직 공무원(27만 2692명) 가운데 43.2%인 11만 7872명이 여성이지만, 1, 2급 고위직 공무원은 고작 2명으로 전체(82명)의 2.4%에 불과한 실정이다.

공공기관 전체 여성임원(기관장·이사·감사) 비율은 전년보다 6.1%포인트 증가한 17.9%, 여성관리자(부장·팀장 이상) 비율은 전년 대비 4.0%포인트 늘어난 22.8%를 각각 기록했다.

각종 정부위원회 여성 참여율은 중앙부처의 경우 41.9%, 지자체의 경우 39.8%로 집계됐다.

장애인 공무원 고용률은 중앙부처가 3.43%, 지자체가 3.95%였다. 법정 장애인 의무고용률(3.2%)을 만족한 것이지만 전년(중앙부처 3.47%, 지자체 4.08%)에 비해서는 다소 하락한 수치다.

이는 “소방·사회복지·생활안전 분야 등에서의 신규 인력 충원에 따라 모수인 전체 공무원 정원이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인사처는 설명했다.

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3.16%로 전년보다 0.14%포인트 증가했다.

지역인재와 저소득층 등을 배려한 사회통합형 인재 선발도 확대되고 있다.

지난해 지역인재 국가공무원은 총 310명(7급 130명, 9급 180명)이 선발돼 전년(290명)에 비해 20명이 증가했다.

9급 국가직 저소득층 구분모집은 2017년 134명에서 지난해 137명으로 늘었다. 다만, 9급 지방직 저소득층 구분모집에서는 전년(607명) 대비 소폭 감소한 592명이 선발됐다.

지난해 중앙부처 고위공무원 중 이공계 비율은 22.1%, 4급 이상 이공계 공무원 비율은 34.3%로, 전년 대비 각각 1.3%포인트, 1.7%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지자체 5급 이상 이공계 공무원 비율 역시 41.1%에서 45.1%로 4.0%포인트 늘었다.

여성 공무원 비율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자료:인사혁신처

김성곤 선임기자 gsgs@public25.com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