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연맹 영입·공공노총 통합 계기…1일자 조직개편
한국노총행 이끈 김태신·신동근 위원장 본부 파견
공무원 노동계 공략 통한 세 불리기 차원으로 해석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25일 오전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원노조법의 전면개정을 촉구하고 있다. 한국노총 제공
한국노총이 공무원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사진은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이 지난 2월 25일 헌법재판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원노조법의 전면개정을 촉구하는 모습. 공생공사닷컴DB. 한국노총 제공

광역지자체 공무원 노조 연맹체인 광역연맹을 끌어들이고, 공공노총과 통합을 추진 중인 한국노총이 ‘공무원본부’를 신설했다.

광역연맹의 한국노총행에 적극적이었던 김태신 충남도공무원노조위원장과 신동근 경남도청노조위원장 등 2명을 파견자로 발령냈다.

또 최근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플랫폼노동자 권익보호 등을 위해 ‘플랫폼노동공제회 추진단’도 신설했다.

한국노총은 이런 내용의 조직개편 및 인사를 4월 1일자로 단행했다.

먼저 한국노총은 조직처 관할로 공무원본부를 새로 만들었다. 그동안 공무원 노동계로 외연을 넓히려던 노력의 일환이다.

광역연맹 소속 김태신·신동근 위원장 등 2명이 공무원본부로 파견을 받았다. 이들은 평소 광역연맹의 한국노총행에 적극적인 입장이었다.

공무원본부의 신설은 민주노총과 세 불리기 경쟁을 해온 한국노총이 지향해온 공무원 조직화와 직결돼 있다. 민주노총 소속 전국공무원노조와 전교조 등을 제외하더라도 20여 만명에 달한다. 이들을 조직화할 경우 민주노총과의 경쟁에서 확실한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계산인 셈이다.

한국노총은 “광역연맹을 시작으로 교사연맹 등 공무원 조직의 가입이 예정돼 있고, 공공노총과의 통합도 앞둔 상황에서 공무원을 전담하는 공무원본부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공무원본부 신설 취지를 설명했다.

한국노총은 또 ‘플랫폼노동공제회’ 추진단을 위원장 직할로 신설했다. 한국노총은 플랫폼노동으로 대표되는 비정형노동의 확산에 대비하고, 플랫폼노동자 보호와 지원을 위해 그동안 플랫폼노동공제회 신설을 준비해왔다.

앞서 한국노총은 지난 2020년 플랫폼노동 보호방안연구 TF를 구성해 공제회의 개념과 역할 및 가능성 등을 검토해 왔다. 이번 추진단 구성을 계기로 본격적인 공제회 설립에 착수할 계획이다.

한국노총은 “사회보험을 통한 플랫폼노동자의 온전한 보호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공제회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고 플랫폼노동공제회 추진단 설립 취지를 밝혔다.

한편, 대변인은 미디어홍보본부 이지현 실장이 맡았으며, 산업안전보건연구소는 산업안전보건본부로 명칭을 바꿨다.

김성곤 선임기자 gsgs@public25.com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