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클리 공생공사’

정은경 질별관리본부장이 22일 코로나19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제공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이 22일 코로나19 발생 및 대처 현황 브리핑을 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제공

지난 한 주(2월 16일~22일) 공무원 관련 뉴스는 어떤 게 있었을까. 한 주간 공생공사닷컴에서 인기를 모은 기사와 다른 매체에서 관심 있게 다룬 공직사회 뉴스를 간추려봤다.
 
경남교육공무원노조 61일 만에 천막 농성 종료
 
지난해 경남 김해의 한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어린이(당시 8세)의 방화셔터 끼임 사고로 촉발된 경남교육노조의 천막농성은 지난해 12월 16일 시작됐다.

진영민 경남교육노조 위원장 등 조합원들은 학교장을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해줄 것 등 10대 요구안을 내걸었다.

수차례 협의에도 난항을 겪던 경남교육청과 경남교육노조는 14일 절충안에 합의하고 17일 이를 공식 발표했다.

한판승은 아니었지만, 학교의 소방안전관리자를 학교의 최고 책임자인 학교장이 맡아야 한다는 점을 환기시켰고, 시행에 강제성은 없지만, 이런 내용이 담긴 2016년에 체결한 단체협약을 공문으로 학교에 시달하기로 했다.

또 교원에게만 적용되던 책임배상 보험의 확대도 올해 중에는 시행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약속도 받아냈다. 경남도에 14개에 달하는 나홀로 행정실장 학교도 점차 해소하기로 했다.

진영민 위원장은 “아쉽지만, 소방안전관리자 지정 문제 등 학교 현장에서 소외되고 있는 교육공무원의 실상을 제대로 알렸다는 점이 소득이다”고 자평했다.

61일간의 천막농성은 큰 승리를 얻어낸 것은 아니지만, 교육공무원들의 목소리를 세상에 알렸다는 점에서는 큰 승리라고 평가받는다.
 
“공무원 피 뽑는 게 어제오늘 일 입니까공무원 헌혈 

지난주에는 공무원 헌혈이 유독 많았다. 방학이어서 학생들의 헌혈이 줄어든 데다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혈액 수급에 비상이 걸렸기 때문이다.

정부 수립 이래 공무원 단체헌혈은 연례행사였다. 한 해에 두 번씩 헌혈 행사가 열리는 것은 기본이었다.

지난 19일 인사혁신처 앞에서 국가공무원노동조합과 인사처 직원들이 헌혈을 하고 있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제공
지난 19일 인사혁신처 앞에서 국가공무원노동조합과 인사처 직원들이 헌혈을 하고 있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제공

지난주에도 19일 국가공무원노동조합과 인사혁신처가 청사 앞에서 공동으로 헌혈행사를 벌인 데 이어 행정안전부도 본관과 별관에서 단체 헌혈을 했다.

앞서 17일에도 청와대 직원과 서울시 직원들이 헌혈에 동참하기도 했다. 공무원과 학생, 군인들의 헌혈은 오래된 역사를 지녔다. “당연한 일 아니냐”는 반응도 있지만, “공무원 피 뽑는 게 어제오늘 일입니까”하고 시니컬하게 반응하는 공무원도 있었다. 어떻든 공무원의 소중함을 일깨운 헌혈행사였다.

공무원연금 칼럼에 뜨거운 반응
 
지난주 공생공사에서는 최영조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정책연구소장의 칼럼이 빅히트를 쳤다.

‘공무원연금 개혁과 은퇴 후 평범한 일상’이라는 이 칼럼은 애초에는 기고로 들어왔던 것이었으나 평소 최 소장이 칼럼니스트로 소개되곤 해서 칼럼으로 처리했다.

그러나 오전에 올린 그 칼럼은 금세 5000 ‘페이지뷰’(PV)를 넘어서는 등 접속자가 폭주했다. 일반 기사를 훨씬 뛰어넘는 관심이었다.

이를 통해 공무원들이 얼마나 연금에 관심이 많은지, 또 피해의식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인은 항상 국민연금과 비교해서 공무원들이 안정된 직장에서 일하면서 연금까지 특별 대우를 받는다고 공격하지만, 이와 반대로 공무원들에게는 피해의식이 깔렸다는 것이었다.
 
고시 순혈주의에 대한 울분 폭발
 
국가 공무원을 중심으로 고시 순혈주의에 대한 불만이 이슈가 된 한 주였다.

조달청공무원노동조합이 지난 10일 ‘빽 투 더 오늘’(Back to the present)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조달청 인사의 문제점을 정면 비판한 것이다.

정무경 청장이 들어서면서 고시 순혈주의가 심화돼 주무과장 6개를 모두 고시 출신이 독식하고, 부이사관 자리도 비고시와 고시 출신이 6대 4였는데 이게 4대 6으로 바뀌었다며 지적했다.

이어 13일에는 기획재정부 노조가 서기관 인사에서 11명 모두를 고시 출신으로 채웠다며 성명을 내고,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잡기 위해 할당제를 시행하라고 주장했다.

이후 18일 이뤄진 기재부 과장 인사에서는 7급 공채 출신 과장이 12명에서 14명으로 두 명 늘어났다. 이를 두고 기재부는 자료를 내서 과장급 인사의 배경을 설명하고, 과장 자리에 처음으로 7급 출신이 12%가 됐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우는 아기 떡 하나 더 준다.’라고 어떻든 기재부 노조의 성명이 적잖게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하지만, 68개 자리를 바꾸면서도 7급 출신 주무과장은 한 명도 없었다는 점에서 씁쓸함을 남긴 인사였다.
 
코로나19 영향권에 든 공직사회
 
지난주에는 공무원 가운데 코로나19 확진자가 처음으로 나왔다.

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사업소에서 근무하는 공무원이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됐다고 대구시가 20일 공식 확인했다. 공무원으로서는 첫 사례였다.

이어 22일에는 세종시에서 공무원은 아니지만, 32세 남성이 코로나19 확진자로 밝혀졌다. 이 확진자는 세종시 일대에서 숙식을 해왔기 때문에 세종시에 비상이 걸렸다.

세종시에는 정부 부처가 몰려 있어서 그동안 세종시는 물론 정부 부처에서도 코로나19에 촉각을 곤두세워 왔었다.

만약 코로나19가 공직사회에 침투하게 되면 부처의 한 과는 물론 실·국을 폐쇄해야 하는 최악의 상황도 마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부부처에서는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으면 신속히 신고할 것 등 주의를 당부하고, 대민 접촉 회의 등을 줄이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하지만, 앞으로 공무원 가운데 확진자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는 게 공직사회의 전망이다. 최악의 상황을 대비한 대응 매뉴얼 등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성곤 선임기자 gsgs@public25.com

저작권자 © 공생공사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